저는 꼼꼼한 성격입니다?
얼마 전 내가 다니는 회사에서 기간제 직원을 뽑았다.
우리부서에서 딱 1명을 뽑았는데,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지원을 했다.
그 많은 사람들의 자기소개서를 읽다가 보니 가장 많이 보이는 말이..
바로 '저는 꼼꼼한 성격입니다.' 였다.
내 경험에 비추어 보아도
꼼꼼한 성격은
자기소개서에 적을 만큼의 자랑거리라고
생각했던 것 같다.
정확히 기억은 안나지만...
나도 지금 다니는 회사에 자기소개서를 제출할 때
꼼꼼한 편이라고 적어 냈었던 것 같다.
조금 다르게 얘기하면
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
기업은 꼼꼼한 성격의 사람을 뽑을 것이다.. 라는
생각을 하고 있었던 것 같다.
기업은 꼼꼼한 사람을 원하지 않는 것 같다.
회사를 다녀보니 현실은 조금 다른 것 같다.
기업은 꼼꼼한 사람을 원하지 않는 것 같다.
정확히 말하면 적당히 꼼꼼한 사람을 원하는 것 같다.
왜냐하면 요즘 우리는
제한된 시간 내에 많은 업무량을 처리해야 하고,
그 업무를 처리함에 있어 수많은 변수를 맞이하게 되기 때문에
꼼꼼하기 보다는
조금 덜 꼼꼼하더라도 신속한 업무 처리를
더 선호하기 때문이다.
좀 더 간단하게 말하면
요즘과 같은 복잡계에서는
정확성이나 디테일보다는
스피드와 방향성이 더 중요한 요소인 것 같다.
즉, 시시각각 변하는 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
중요하다는 것이다.
120%의 속도와 80%의 정확성
우리회사에서 많이 통용되는 말이다.
속도와 정확성을 각각 100%로 보았을 때,
사업 추진에서 필요한 각각의 수치이다.
오랜기간 고민고민해서 사업을 시행하기 보다는
일단 큰 그림만 그린 후 사업에 착수하고,
혹시 잘못된 것이 있으면 진행하면서
수정하고 바로 잡아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.
특히, 시의성이 있는 사업이나 업무에 있어서는 더욱 그렇다.
꼼꼼하게 오랜 시간 고민하다가
타이밍을 놓쳐서... 나중에는 아무것도 안되는 경우가
정말 최악의 케이스다.
요즘은 틀린 선택보다는 늦은 선택이 더 나쁜 선택이다.
왜냐면 틀린 선택은 수정하면 되지만,
늦은 선택은 수정할 시간조차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.
이는 비단 기업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,
우리가 삶을 살아갈 때도 마찬가지다.
우리가 인생의 목표를 정했지만,
오랜기간 고민하느라 우물쭈물 하느라
시간만 보내고 시작도 못하기 보다는
조금 덜 준비가 되었더라도
일단은 방향만 맞으면
빨리 시작하는 것이
더 나은 삶에 한걸음 다가가는 것이
아닐까?
- 우리동네법대형
'혼잣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혼잣말] 아무거나 한 가지라도 꾸준하게 해보자~ (0) | 2020.04.25 |
---|---|
[혼잣말] 정보화시대에 필요한 교육은? (0) | 2020.04.19 |
[혼잣말] 회식에 대한 단상 (0) | 2020.04.12 |
[혼잣말] 투표합시다. (0) | 2020.04.11 |
[혼잣말] 국회의원도 블라인드로 한번 뽑아보는건 어떨까?? (0) | 2020.04.06 |